본문 바로가기
  • 생각하는 그리스도인

구약성서3

룻기 개관 익명의 저자가 짧지만 아름다운 룻기의 이야기를 정성스럽게 다듬었다. 룻기의 한 가운데 (2장 끝 부분) 에서 만나는 평행 요소들을 중심으로 대칭 구조를 이룬다.가장 두드러진 것은 구속이라는 주제이다. 룻기에서 친족을 의미하는 히브리어 단어인 고엘이 13번 나오는데, “구속하는 사람” 뜻한다.보아스는 룻과 결혼하여 가계를 잊을 뿐 아니라, 나오미의 땅을 되사서 기업무를 자의 책임을 수행한다.보아스의 이 일시적인 구속은 하나님의 구속 사역을 가리키며, 하나님의 구속 사역은 그리스도가 자신을 내어 주사 “모든 불법에서 우리를 구속하신 것"(딛 2:14)에서 절정에 이른다.룻기의 다른 주요 용어는 언약에 대한 충성을 의미하는 “인애”이다. 룻과 보아스는 “사람이 각기 자기의 소견에 옳은 대로 행하”는 시대에 언.. 2025. 4. 7.
사사기 개관 1. 사사기는 연대순이 아니라 주제에 따라 구성되었다.  2.이스라엘의 타락을 시작으로, 일곱 구원의 순환으로 이어지다가 이스라엘이 타락한 두 가지 예를 생생하게 제시하면서 결론을 내린다. 잠시 군사적으로 성공한 이야기로 시작되지만, 곧이어 적을 몰아내는 일에 반복해서 실패하면서 이스라엘의 쇠퇴가 중심 주제로 드러난다.그들이 실패한 근본적인 이유는 하나님에 대한 믿음과 순종이 부족했기 때문이다(2:1-3). 3.이 책의 중간 부분에는 배교, 압제, 구원의 호소, 구원,  안정의 순서로 순환하며 일곱 번 반복되는 하나님의 구원이 기술되어있다. 이스라엘 백성은 계속하면서 실패를도 깨닫지 못하여 순종과 배교 사이에서 동요한다. 그런데도 안정과 평화의 시기가 속박 당시기보다 길고, 변함없이 죄를 짓는 이스라엘의.. 2025. 4. 4.
신명기 개관 1.가장 큰 틀로 보면 신명기는 시내 산에서 받은 언약을 갱신한 기록이다. 이 언약은 모압평지에서 재고되었으며 확장, 증대되었고 마침내 승인되었다. 모세는 주로 세 편의 설교로 언약을 갱신하는데, 하나님과 이스라엘과의 관계를 회고하고, 반성해서, 앞날을 전망한다.2.모세의 첫 번째 설교(1:1-4:43)는 출애굽한 후 하나님이 이스라엘에게 행하신 일을 강조하며 언약을 맺은 배경을 알려준다. 자신의 백성을 보호하시고 채우시는 하나님이라는 주제를 조명하고, 더불어 불순종한 이스라엘에게 내린 하나님의 처벌도 다룬다. 3.두 번째 설교는 언약의 특정한 요구들을 다루는데, 그들이 약속의 땅에 들어가서 세력을 잡게 될 새로운 상황에서 출애굽기의 율법을 적용해야 하기 때문이다. 이방신 숭배와 관습들을 금지하고, 성소.. 2025. 4.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