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생각하는 그리스도인

성경 낙서장13

역대상 개관 저자 : 정확한 기록은 없으나 유대 전승에 의하면 에스라로 본다. 통상적으로 저자를 “연대기 기록자”라고 말한다. 기록 연대 : 본문 내용을 보면 기원전 5세기 경으로 추측할 수 있다.주제 1 :역대기는 제사장적인 관점으로 기록되었다. 사울의 시대부터 기원전 538년 고레스 칙령으로 이스라엘 민족이 귀환하기까지, 유다의 제사장 예배를 중심으로 주요 역사적인 주제들을 다룬다. 이 종교적 관점의 역사는 하나님이 그의 백성과 맺은 약속과 신실하심, 하나님이 하신 말씀의 능력, 하나님 백성의 예배가 차지하는 삶에서 중심적 역할을 묘사한다.주제 2 : 예루살렘 성전은 역대상하의 통일된 주요 주제이다. 성전은 백성 가운데 임재하시는 하나님을 상징하며 그 백성들의 지고한 소명을 상기시킨다. 성전은 그들의 과거와 미래.. 2025. 5. 22.
빌립보서 개관 저자 : 바울 기록 연대와 기록 장소 : 논쟁이 잦다주제 1 : 가장 두드러진 주제는 ‘기쁨’이다. ‘기쁨’이라는 단어가 5번 나오고(1:4, 25, 2:2, 29, 4:l), ‘기뻐하라’도 11번 나온다(1:18, 2:17,18, 4:4에서 2번씩 2:28, 3:l, 4:10에서 1번씩) 기뻐할 만한 환경이 아니더라도 바울은 하나님께서 자신에게 또 빌립보 성도들에게 기쁨에 찬 확신을 주실 것이라고 말한다.주제 2 : 바울은 빌립보 성도들에게 성육신하셔서 십자가에 못 박히신 가장 위대한 본 그리스도의 마음을 닮아서(2:5-11) 겸손하게 한 마음으로 서로를 돌아보라고 권한다(2:1-4). 그리스도의 케노시스(kenosis), ‘자기 비움’’은 신성을 포기하셨다는 뜻이 아니라 성육신 이전의 영광을 감추시고.. 2025. 5. 18.
시편 119편 개관 📖 시편 119편 개관 🧩 시편 119편의 문학적 특징아크로스틱 시(Acrostic Poem)앞 글자마다 알파벳이 규칙적으로 연결되어 있습니다.반복과 변주같은 주제(말씀, 율법)를 다양한 방식으로 표현합니다.기도와 고백단순한 시가 아니라 '기도하는 시'로 볼 수 있습니다.점진적 고조단순한 반복이 아니라, 점점 더 깊은 신앙 고백으로 올라갑니다. ✨ 시편 119편 구조 1. 히브리어 알파벳 순서로 되어 있음시편 119편은 히브리어 알파벳 22글자(א ~ ת, 알렙~타브) 순서로 구성되어 있어요.각 알파벳마다 8절씩 있습니다.총 22글자 × 8절 = 176절입니다.각 8절의 시작은 모두 해당 알파벳으로 시작합니다. (아주 정교한 시적인 기법!) 2. 주제: 하나님의 말씀에 대한 사랑과 헌신'율법'(T.. 2025. 4. 29.
에스더 개관 비록 하나님의 이름은 단 한 번도 나오지 않지만, 그분의 백성을 위한 하나님의 섭리와 보호의 손길은 에스더서를 통해 분명히 드러난다. 유대인을 말살하려는 하만의 음모로 하나님의 백성이 심각한 위험에 처했는데, 에스더의 용기와 그녀의 친척 모르드개의 지혜로운 모략으로 이 음모는 와해되었고, 그 결과 유대인들은 놀라운 구원을 경험한다 유대인의 부림절은 하나님의 신실하심을 기념하는 절기가 되었다.역사적으로 이 책은 바벨론 포로기간 중 유대인 역사의 단편을 보여준다. 에스더서는 팔레스타인으로 돌아가기보다는 바사에 남기로 선택한 유대 민족에 대한 유일한 성경 이야기이다. 에스더서의 역사적 특성을 의심할 이유는 거의 없지만, 에스더서는 상당한 실력으로 위기와 구원의 복잡한 구성을 제시하고 있는 매우 정교한 운학 작.. 2025. 4. 26.
아가 개관 아가서는 비유와 동양적인 이미지가 풍부한 솔로몬의 사랑 노래이다. 아가서는 솔로몬 왕이 포도원을 지키는 한 여인에게 구애하여 결혼하는 이야기를 서술하며 결혼으로 맺어진 사랑의 기쁨과 슬픔을 그린다. 이 책은 세 명의 주인공 즉 신부, 왕, 합창단(예루살렘의 딸들)이 등장하는 드라마의 장면처럼 구성된다. 아가서의 핵심 이미지는 포도주, 정원, 입맞춤, 다양한 향기와 과일이며, 이것들은 교외나 전원생활을 보여준다. 특이하게도 이 책에는 하나님의 이름이 직접적으로 나타나지 않는다. 아가서의 목적과 문학 형태에 대해 다양한 이해가 있는데 세 가지 기본적인 접근 방식으로 분류할 수 있다.비유적인 관점에서 이 책은 하나님과 이스라엘 또는 그리스도와 교회의 관계를 묘사하는 시로 이해할 수 있다. 세부 묘사들은 더 깊.. 2025. 4. 23.
룻기 개관 익명의 저자가 짧지만 아름다운 룻기의 이야기를 정성스럽게 다듬었다. 룻기의 한 가운데 (2장 끝 부분) 에서 만나는 평행 요소들을 중심으로 대칭 구조를 이룬다.가장 두드러진 것은 구속이라는 주제이다. 룻기에서 친족을 의미하는 히브리어 단어인 고엘이 13번 나오는데, “구속하는 사람” 뜻한다.보아스는 룻과 결혼하여 가계를 잊을 뿐 아니라, 나오미의 땅을 되사서 기업무를 자의 책임을 수행한다.보아스의 이 일시적인 구속은 하나님의 구속 사역을 가리키며, 하나님의 구속 사역은 그리스도가 자신을 내어 주사 “모든 불법에서 우리를 구속하신 것"(딛 2:14)에서 절정에 이른다.룻기의 다른 주요 용어는 언약에 대한 충성을 의미하는 “인애”이다. 룻과 보아스는 “사람이 각기 자기의 소견에 옳은 대로 행하”는 시대에 언.. 2025. 4.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