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스더2 5월 22일 목요일 에스더 9:20-10:3 28 각 지방, 각 읍, 각 집에서 대대로 이 두 날을 기념하여 지키되 이 부림일을 유다인 중에서 폐하지 않게 하고 그들의 후손들이 계속해서 기념하게 하였더라 1. 기억하기 위한 부림절의 제정모르드개는 유다인들이 하만의 음모로부터 구원받은 사건을 기억하도록 편지를 보냅니다. 그는 아달월 14일과 15일을 매년 잔치를 열고 기쁨을 나누는 날로 삼아 지키자고 제안합니다. 이 날들은 유다인들이 원수에게서 벗어나 안식을 누린 날이기에, 즐거워하고 잔치를 벌이며, 서로 선물을 주고, 가난한 자들을 구제하는 날로 삼자고 합니다. 이후 에스더 왕후도 모르드개와 함께 두 번째 편지를 보내 이 절기를 굳게 세웁니다. 그 결과, 부림절을 지키라는 규례가 더욱 확실히 정해지고, 이 모든 내용은 기록으로 남겨져 후손들도 반.. 2025. 5. 22. 에스더 개관 비록 하나님의 이름은 단 한 번도 나오지 않지만, 그분의 백성을 위한 하나님의 섭리와 보호의 손길은 에스더서를 통해 분명히 드러난다. 유대인을 말살하려는 하만의 음모로 하나님의 백성이 심각한 위험에 처했는데, 에스더의 용기와 그녀의 친척 모르드개의 지혜로운 모략으로 이 음모는 와해되었고, 그 결과 유대인들은 놀라운 구원을 경험한다 유대인의 부림절은 하나님의 신실하심을 기념하는 절기가 되었다.역사적으로 이 책은 바벨론 포로기간 중 유대인 역사의 단편을 보여준다. 에스더서는 팔레스타인으로 돌아가기보다는 바사에 남기로 선택한 유대 민족에 대한 유일한 성경 이야기이다. 에스더서의 역사적 특성을 의심할 이유는 거의 없지만, 에스더서는 상당한 실력으로 위기와 구원의 복잡한 구성을 제시하고 있는 매우 정교한 운학 작.. 2025. 4. 26.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