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생각하는 그리스도인
묵상 낙서장/2025년 매일성경 묵상

누가복음 22장 개관

by 은혜입은자 2025. 4. 16.

누가복음 22장은 누가복음의 마지막 단락을 시작하는 부분이기 때문에, 22:1~24:53에서 논하는 예수 그리스도의 죽음과 하늘로 올려지심에 관한 이야기와 자연스럽게 연결된다. 이것을 다시 세분화하면, 유윌절과 최후의 만찬 (22:1~38) 관한 이야기와, 예수의 수난, 죽음, 장사됨(22:39~23:56)관한 이야기 그리고 예수의 부활과 승천(24:1~53) 관한 야기로구분된다.

 

전체의개요

누가복음 22장 단락구분과 묵상 포인트이다.

구절 내용 요약 묵상 포인트
1~2절 예수에 대한 음모 종교지도자들이 예수를 죽이려함 세상의 악한 계획 속에서도 하나님의 뜻은 이루어집니다.
3~6절 유다의 배반 유다가 돈을 받고 예수를 넘기기로 함 배신의 순간에도 예수님은 침묵하셨습니다. 
우리는 어떤 유혹에 넘어가고 있지는 않나요?
7~13절 유월절 준비 예수님이 제자들에게 유월절을 준비하게 하심 순종하는 제자들처럼, 작은 일에도 주님의 뜻을 따르기를 결단합시다.
14~23절 마지막 만찬 예수님이 떡과 잔으로 새 언약을 세우심 성찬은 단순한 의식이 아닌, 예수님의 사랑과 희생을 기억하는 자리입니다.
24~30절 큰 자에 관한 논쟁 제자들이 누가 더 큰지를 두고 다툼 진짜 위대함은 섬김에 있습니다. 나는 섬기는 삶을 살고 있는가?
31~34절 베드로의 부인 예고 예수님이 베드로의 부인을 예고하심 우리의 결심은 연약합니다. 시험에 들지 않도록 늘 깨어 기도해야 합니다.
35~38절 전대와 배낭과 검 예수님이 고난의 때를 대비하라고 하심 믿음은 현실을 무시하는 것이 아니라, 주님의 뜻을 따라 준비하는 것입니다.
39~46절 감람산의 기도 예수님이 땀이 핏방울처럼 되도록 기도하심 고난 앞에서 기도는 가장 강한 무기입니다. 예수님도 기도하셨습니다.
47~53절 예수의 잡히심 유다의 배신과 예수님이 체포되심 예수님은 스스로 체포당하시며 순종의 길을 택하셨습니다.
54~62절 베드로의 부인 베드로가 예수님을 세 번 부인함 실패 후에 주님의 눈길을 마주할 때 회개가 시작됩니다. 
나의 회개는 진실한가요?
63~65절 예수를 희롱함 예수님이 모욕과 조롱을 당하심 침묵 속에서도 예수님의 사랑은 멈추지 않았습니다. 
고난 중에도 주님은 우리를 사랑하십니다.

 

 

본문에 나타난 누가복음의 일관된 신학적 주제

 

1. 예루살렘중심성

누가복음은 지역적으로 예루살렘을 강조하는데 이러한 특징이 단락에서도 확인된다. 누가복음 19:28 에서 예수님은 예루살렘으로 입성하는시데 이후 복음서의 부분까지 마가복음의 보도와 병행을 이룬다. 비록 누가복음이 이방인 저자에 의해 기록된 보편주의적 복음서긴 하지만, 저자는 한편으로 기독교 신앙의 뿌리가 유대교에 있음을 특별히 강조한다.

 

처음부터 끝까지 예루살렘 특별히 성전은 복음서에 나타난 활동들의 중심이다. 제사장사가랴가봉사했던 곳도성전이었고(1:5~23), 아기 수가 하나님께 드려진 곳도 성전이었으며(2:22~38) 예수의 부모가 예수를 발견한 곳도 성전이었다(2:41~52). 예수께서 세 번 시험받았던 이야기에서예루살렘 성전은 마지막 시험의 배경을 이룬다(4:9~13). 9:51예루살렘으로 가는 여행에 대한 보도인데 예수께서 성전에서 가르치는 것으로 끝나며 (19:4 5~48), 복음서 자체도 에수의 추종자들이 성전에서 하나님을 찬송했다는 이야기로 끝난다(24:52~53; 4:11).

 

누가복음 22 장의 이야기는 예루살렘에서 일어나는 일들이라는 점에서, 전체 누가복음과 연결된다.

 

2. 기도

누가복음은 예수께서 기도한 기사를 일곱 보도하는데, 이것은 다른 복음서에는 나타나지 않는다. 예수는 세례받을 때(3:21) 치유 사역 (5:16, 열두 사도를 선택하기 전에(6:12) 베드로가 예수를 메시아로 인식하기 전에(9:18), 변화산에서(9:29), 기도를 가르치기 전에(11:1), 그리고 십자가 위에서(23:34, 46) 기도했다.

 

22장에서 예수는 베드로를 위하여 기도했고(22:32), 다른 복음서에는 보도되지 않은 기도의 중요성에 관한 세 가지 교훈을 했다. 강청하는 친구비유(11:5~8 ), 불의한 재판관의 비유(18:1~8), 바리새인과 세리에 관한 (18:9~14) 등이다. 바울도 끈기 있게 기도할 것을 권고했다(롬 12:12; 4:2; 살전 5:17). 분명한 것은 기도는 상황을 변화시킨다는 것이다. 하나님은 진지하고 끈기 있는 기도를 들으시고 응답하신다.